Nasdaq Plunge and Exchange Rate Trends: Causes and Outlook
1. Six Reasons for the Nasdaq Plunge
The Nasdaq plunge often occurs due to a combination of reasons. Here’s a summary of the causes of this day's drop:
1.1 Rise in U.S. Treasury Yields
- As U.S. Treasury yields increase, corporate borrowing costs rise, and the investment environment contracts.
- In particular, rising interest rates increase the discount rate when converting future cash flows to present value, hitting the Nasdaq, which is full of growth stocks, harder.
1.2 Tax-Related Loss Adjustments
- At the end of the year, many investors realize losses to reduce taxes, which increases selling pressure and puts the market under pressure.
1.3 Profit-Taking
- Many investors who made profits in the bull market throughout 2023 and 2024 are now moving to close their funds and take profits.
1.4 Post-Holiday Effect
- Traditionally, the market tends to weaken at the end of the year and the beginning of the new year. There is often a period of consolidation after the 'Santa rally'.
1.5 Burdensome Valuations
- The PE (price-to-earnings ratio) of many companies listed on the Nasdaq is reaching an average of 50, leading to ongoing controversy over ‘overvaluation’.
- Some investors have felt burdened by this and have started to sell.
1.6 Reaction to This Year's Surge
- The Nasdaq has risen by more than 30% cumulatively this year. After a large surge, some degree of correction is a natural progression.
2. New Competitive Landscape Centered on AI and Nvidia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recently in the AI semiconductor strategies of big tech companies.
2.1 Microsoft vs. Google
- Microsoft is speeding up its AI investments by purchasing a large number of Nvidia GPUs.
- In contrast, Google is emphasizing its own technological capabilities by reducing its reliance on Nvidia with its own TPU (Tensor Processing Unit).
2.2 Broadcom's Surge
- Broadcom is emerging as an important partner for both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big tech companies in AI semiconductor design.
- As more companies like Google pursue their own chip designs, Broadcom’s revenue base is also growing rapidly.
3. Exchange Rate Trends and Future Outlook
Exchange rates are influenced by a combination of factors, including domestic political situations, external interest rate differentials, trade balances, and global economic trends. Here are a few key points:
3.1 Recent Stabilization of Exchange Rates
- Although market anxiety was heightened by the passage of the impeachment motion against Prime Minister Han Duck-soo, the Korean won-dollar exchange rate has slightly fallen as it has somewhat stabilized.
3.2 Structural Factors: Interest Rate Differentials
- Currently, the interest rate differential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s structurally affecting exchange rate trends.
- In particular, as the U.S. dollar is more favored as a safe haven asset, this interest rate differential is increasing exchange rate volatility.
3.3 Positive Signals
- As Korea’s trade balance maintains a surplus, its structural soundness is being maintained to some extent.
- Major events that could lead to the future stabilization of exchange rates include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and domestic political stability.
In summary, the Nasdaq plunge is due to a combination of complex issues, including rising interest rates, profit-taking, and controversies over overvaluation.
However, do not overlook that the strong growth potential of companies and the competition for AI investments are still vibrant, suggesting a possible positive investment environment in the long term.
– Crafted by Billy Yang
[Related Articles at NextLens.Net]
*YouTube Source: [내일은 투자왕 – 김단테]
– 나스닥 폭락의 6가지 이유와 환율

[Korean Summary]
[내일은 투자왕 – 김단테]
“나스닥 폭락의 6가지 이유와 환율“
1. 나스닥의 폭락 이유 6가지
나스닥 폭락은 종종 복합적인 이유로 발생하는데요, 이날 하락의 원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1 미국 채권 금리 상승
- 미국의 채권 금리가 상승하면서 기업의 차입 비용이 증가하고, 투자 환경이 위축되고 있어요.
- 특히 금리 상승으로 미래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환산할 때 할인 폭이 커지면서 성장주가 많은 나스닥 지수에 더 큰 타격을 줍니다.
1.2 세금 관련 손실 조정
- 연말에는 세금을 줄이기 위해 손실을 확정 짓는 투자자들이 많아져, 매도 물량이 늘어나면서 시장이 압박을 받게 됩니다.
1.3 차익 실현
- 2023년과 2024년을 거치는 동안 상승장에서 수익을 올린 투자자들이 이제 펀드를 닫고 차익을 실현하려는 움직임이 많아졌어요.
1.4 연휴 이후 효과
- 연말과 연초에는 전통적으로 시장이 약세를 보이곤 하죠. '산타랠리' 이후 잠시 숨 고르기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5 부담스러운 밸류에이션
- 나스닥에 상장된 상당수 기업들의 PE(주가수익비율)가 평균 50에 이르는 등 '고평가 논란'이 이어지고 있어요.
- 이로 인해 일부 투자자들이 부담을 느끼고 매도에 나섰습니다.
1.6 올해 급등에 따른 반작용
- 나스닥은 올해 누적 상승률이 30%를 넘겼습니다. 큰 폭의 상승 뒤에는 어느 정도의 조정이 나오는 것이 자연스러운 흐름일 수 있습니다.
2. AI와 엔비디아 중심의 새로운 경쟁 흐름
최근 빅테크 기업들의 AI 반도체 전략에서도 큰 변화가 보이고 있습니다.
2.1 마이크로소프트 vs 구글
- 마이크로소프트는 엔비디아 GPU를 대량으로 구매하며 AI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 반면, 구글은 자사의 TPU(Tensor Processing Unit)로 엔비디아 의존도를 줄이며 독자적인 기술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2.2 브로드컴의 급등
- 브로드컴은 AI 반도체 설계와 관련해 중소기업뿐 아니라 빅테크 기업들의 중요한 파트너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구글처럼 자체 칩 설계를 추진하는 회사들이 늘어나면서 브로드컴의 수익 기반 역시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3. 환율 동향과 미래 전망
환율은 단순히 국내 정치 상황뿐 아니라 외부의 금리 차, 무역수지, 세계 경제 흐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요, 몇 가지 포인트를 짚어볼게요.
3.1 최근 환율 안정화
- 한덕수 총리의 탄핵안이 가결되면서 시장 불안이 고조되었으나, 다소 안정화되며 원-달러 환율이 소폭 하락했습니다.
3.2 구조적 요인: 금리차
- 현재 미국과 한국의 금리 차가 구조적으로 환율 흐름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특히 미국 달러가 안전자산으로 더 선호받는 만큼 금리 차이와 함께 환율 변동성을 키우고 있어요.
3.3 긍정적인 시그널
- 한국의 무역수지가 흑자를 유지하고 있다 보니, 구조적인 건전성은 유지되고 있는 편입니다.
- 향후 환율 안정화를 가져올 주요 이벤트로는 미국 대선과 국내 정치적 안정화를 꼽을 수 있겠네요.
요약하자면, 나스닥의 폭락은 단순한 이유보다는 금리 상승, 차익 실현, 고평가 논란 등의 복합적인 문제가 얽혀 있어요.
하지만 기업들의 탄탄한 성장 가능성과 AI 투자 경쟁이 여전히 활발해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투자 환경이 조성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놓치지 마세요.
– Crafted by Billy Yang
[관련글 at NextLens.Net]
- AI 반도체 경쟁: 구글 TPU vs 엔비디아
- 2024년 한국 환율 전망
*유튜브 출처: [내일은 투자왕 – 김단테]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