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S. Shipbuilding Situation and Opportunities for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1. Background of Trump's Remarks
- Trump stated, "The U.S. needs more warships, but we're not prepared. We need to rely on our allies."
- This reflects the current severely degraded warship construction capability within the United States.
- Meanwhile, China is rapidly producing warships, putting pressure on the United States militarily.
2.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 South Korea is the country with the capability to build warships quickly and affordably, second only to China.
- If the U.S. transfers warship construction technology to South Korea, South Korea can generate revenue through warship production and also seize the opportunity to strengthen its defense capabilities.
3. Warship Production and Global Geopolitics
- Looking at the global naval power situation, the U.S. needs cooperation from its Asian allies to gain an advantage in the South China Sea.
- Warships are not just about production; building a system for continuous repair and maintenance is also key, and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s infrastructure provides this agility.
Growth Potential of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from This Opportunity
1. Hanwha Ocean and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 After acquiring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Hanwha Ocean has transformed into a company capable of warship repair and construction.
- Two years ago, its stock price was ₩15,000, but it has now risen nearly threefold.
- This exemplifies the potential for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to obtain a monopolistic position in the global defense market, rather than just being a simple manufacturer.
2. Prospects for the Warship and Aircraft Carrier Market
- The warship market is projected to reach approximately $230 billion (about ₩350 trillion) in five years.
- Comparatively, this figure is comparable to the size of the memory semiconductor market in the past, which could be an opportunity for South Korea, as a shipbuilding powerhouse, to create new growth engines.
Comparison of Naval Power Between China and the U.S.
1. China's Remarkable Growth
- In the past, the Chinese navy was disregarded due to its low technological capabilities, but it is rapidly advancing its technology, from conventional to the latest aircraft carriers.
- China's number of aircraft carriers is nearing the U.S. level, and it is challenging the U.S. in all areas of military technology.
2. U.S. Strategic Response
- The U.S. needs cooperation from its allies based on the First Island Chain (a maritime defense line to check China).
- In particular, South Korea, a shipbuilding and manufacturing powerhouse, can establish itself as a "key partner" to compensate for the weaknesses in U.S. naval power.
South Korea's Related Matters and Precautions
1. What is Gained and What is Lost
- The U.S. will emphasize cooperation as an ally while providing warship technology to South Korea.
- However, additional costs associated with warship production (e.g., building an aircraft carrier fleet) and additional demands from the U.S. cannot be overlooked.
2. Necessity of Aircraft Carriers and Nuclear Submarines
-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U.S. will want South Korea and Japan to possess aircraft carriers and nuclear submarines.
- This involves massive initial investment and operating costs, which requires careful planning from South Korea's perspective.
3. Why We Need to Prepare for the Future
- The warship market is not a short-term project but an area that needs to be prepared for at least 10 years.
- If South Korea properly utilizes this opportunity, the shipbuilding industry can once again become the driving force of national growth.
Conclusion
- Trump's remarks are not just a simple economic issue but involve content deeply connected to the global power structure.
-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is in a crucial position to seize the current opportunity and preempt the defense and shipping markets.
- However, the strategy behind the demand for cooperation needs to be examined meticulously.
- Crafted by Billy Yang
- [Related articles at NextLens.Net]
*YouTube Source: [Jun’s economy lab]
– 미군함을 한국이 건조가능하다고 말한 트럼프의 숨겨진 계산

📌 Key Issues: 3 Summaries and Analyses
1. NVIDIA Stock Price Decline – Reasons and Outlook
-
Issue Summary:
NVIDIA's keynote speech at CES 2024 was deemed to have fallen short of market expectations, causing its stock price to plummet by approximately 6.2%.
The market interprets this as profit-taking at already high stock price levels.
However, NVIDIA remains a high-value stock, and further significant declines are unlikely. -
Analysis and Response:
- Volatility is expected due to increased profit-taking.
- Tech growth stocks may provide buying opportunities during corrections.
- Lesson: Instead of relying solely on fantastical stories or technological innovations, strategic action at appropriate target prices is necessary.
2. Poor U.S. Treasury Auction and Rising Interest Rates
-
Issue Summary:
The U.S. 10-year Treasury auction was weak, causing interest rates to rise sharply.
There has been a notable decrease in demand from overseas investors (indirect bid rate at 61.4%).
Increased issuance rates (from 4.23% previously to 4.68% recently) are adding to the market's burden. -
Impact on Interest Rates:
- Why are interest rates important?
Rising interest rates increase the discount rate burden on companies, potentially leading to stock price declines. - Key Implications:
Current interest rate levels are near their highest since 2007, requiring a reevaluation of all assets.
- Why are interest rates important?
-
Strategic Suggestions:
Monitor whether Treasury rates continue above 4.7%, and defensive investment strategies and portfolio adjustments appear to be effective.
3. Howard Marks' Statement: "It's Not a Bubble"
-
Core Message:
- Bubbles tend to form based on new, innovative narratives.
- While current valuations are somewhat high, the situation is not as extreme as the dot-com bubble in the past.
-
Three Stages of Bubble Diagnosis:
- Early Recovery Stage (End of 2022)
- Confidence Stage (Mid to Late 2023)
- Overheating Stage (Expected in 2025)
-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
The stock market's rise is based on "positive expectations," but it's not yet considered overheated.
-
However, with high valuation pressures, caution is needed regarding further optimism.
- Investment Key Points:
- Instead of blindly expecting continued gains, follow disciplined investment principles and consider a "Sell Smart" strategy.
- Prepare for volatility and manage risk.
🚀 Conclusion
The market is currently torn between the anticipation of growth and the burden of rising interest rates.
Consequently, it appears to be a time for cautious optimism rather than a major bubble.
Investment should always be based on fundamental principles, not on excessive emotions or expectations. In particular, strategic approaches are needed now to prepare for potential overheating in 2024-2025.
- Crafted by Billy Yang
- [Related Articles at NextLens.Net]
*YouTube Source: [이효석아카데미]
– 하워드막스, 지금이 버블일까? 버블이 올까?

[Korean Summary]
[전인구경제연구소]
“미군함을 한국이 건조가능하다고 말한 트럼프의 숨겨진 계산“
1. 트럼프의 발언 배경
- 트럼프는 "미국 군함이 더 필요하지만, 준비가 안 됐다. 동맹국을 이용해야 한다"는 발언을 했습니다.
- 이는 미국 내 군함 건조 능력이 현재 심각하게 저하된 상황을 반영합니다.
- 한편, 중국은 엄청난 속도로 군함을 생산하며 미국을 군사적 측면에서 압박하고 있습니다.
2. 한국 조선업의 경쟁력
- 한국은 중국 다음으로 군함을 빠르고 저렴하게 건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국가입니다.
- 미국이 군함 건조의 기술력을 한국에 넘긴다면, 한국은 군함 생산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뿐 아니라, 국방력을 강화할 기회도 잡을 수 있습니다.
3. 군함 생산과 글로벌 정세
- 글로벌 해군 전력 상황을 보면, 미국은 남중국해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 아시아 동맹국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 군함은 단순히 생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연속적으로 수리 및 정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도 핵심인데, 한국 조선업의 기반은 이러한 민첩성을 제공합니다.
이 기회로 본 한국 조선업의 성장 가능성
1. 하나 오션과 대우조선해양
- 하나 오션은 과거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한 이후, 군함 수리 및 건조가 가능한 기업으로 탈바꿈했습니다.
- 2년 전 주가는 15,000원이었으나, 현재는 세 배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 이는 한국 조선업이 단순한 제조업이 아니라,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독점적 지위를 획득할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사례입니다.
2. 함선 및 항공모함 시장 전망
- 5년 뒤에 군함 시장의 규모는 약 2,300억 달러(우리 돈 약 350조 원)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비교하자면, 이는 과거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규모에 필적하는 수치로, 한국 조선 강국으로써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중국과 미국의 해군력 대비
1. 중국의 놀라운 성장
- 과거 중국 해군은 기술력이 낮아 무시됐지만, 현재는 재래식 항공모함에서 최신형 항공모함까지 빠르게 기술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 중국은 항공모함 수에서도 미국에 근접한 수준으로 성장했으며, 군사 기술 전반에서 미국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2. 미국의 전략적 대처
- 미국은 제1도련선(중국을 견제하는 해상 방어선)을 기반으로 동맹국의 협력을 필요로 합니다.
- 특히, 한국은 조선업과 제조업 강국으로, 미국의 해군 전력 약점을 보완할 “핵심 파트너”로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
한국의 연관 사항과 주의점
1. 얻는 것과 잃는 것
- 미국이 군함 기술을 한국에 제공하면서 동맹으로의 협력을 강조할 것입니다.
- 하지만, 군함 생산에 따른 부가적인 비용(예: 항공모함 전단 구축)과 미국의 추가적인 요구사항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2. 항공모함 및 핵잠수함의 필요성
- 미국은 한국과 일본이 항공모함과 핵잠수함을 보유하기를 원할 가능성이 큽니다.
- 이는 엄청난 초기 투자비용 및 운영비를 수반하며 한국 입장에서 신중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3.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 이유
- 군함 시장은 단기적인 프로젝트가 아니라 최소 10년 이상을 보고 준비해야 하는 분야입니다.
- 한국이 이 기회를 제대로 활용한다면, 조선업은 다시 국가 성장의 중추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 트럼프의 발언은 단순한 경제 이슈가 아니라, 글로벌 전력 구도와 밀접히 연결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한국 조선업은 지금의 기회를 잘 활용하여 방산 및 해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중요한 위치에 있습니다.
- 다만, 협력 요구와 동시에 이면에 깔린 전략은 꼼꼼히 따져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Crafted by Billy Yang
- [관련글 at NextLens.Net]
- 한국 조선업의 미래와 방산 산업의 가능성
- 미·중 해군 경쟁과 한국의 전략적 위치
*유튜브 출처: [Jun’s economy lab]
- 미군함을 한국이 건조가능하다고 말한 트럼프의 숨겨진 계산
[이효석아카데미]
“하워드막스, 지금이 버블일까? 버블이 올까?“
1. 엔비디아 주가 하락 – 이유와 전망
-
이슈 요약:
CES 2024에서 엔비디아의 기조연설이 시장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며 주가가 약 6.2% 급락.
시장에서는 이미 높은 주가 수준에서 차익 실현이 나왔다고 해석 가능.
하지만 엔비디아는 여전히 높은 가치를 가진 주식으로 추가 심각한 하락 가능성은 적어 보임. -
분석 및 대응:
- 차익 실현 매물 증가로 인해 변동성이 예상됨.
- 기술 강세주들은 조정 국면에서 매수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음.
- 교훈: 환상적인 스토리나 기술 혁신만 믿고 끝까지 기다리는 대신 적정 목표가에서 전략적으로 대응 필요.
2. 미국 국채 입찰 부진과 금리 상승
-
이슈 요약:
미국 10년물 국채 입찰이 부진하며 금리가 크게 상승.
해외 투자자들의 수요(Mandate)가 눈에 띄게 감소(간접 낙찰률 61.4%).
발행 금리 상승(이전 4.23% → 최근 4.68%)으로 시장의 부담 가중. -
금리에 대한 영향:
- 금리가 왜 중요한가
금리가 상승하면 기업의 할인율 부담으로 주가 하락 가능성이 커짐. - 주요 시사점
현재 금리 수준은 2007년 이후 최고치 근처로, 자산 전반의 재평가 필요.
- 금리가 왜 중요한가
-
전략 제안:
4.7% 이상의 국채 금리가 지속되는지를 주시하며, 방어적인 투자 전략과 비중 조정이 유효할 것으로 보임.
3. 하워드 막스의 ‘버블은 아니다’ 발언
-
핵심 메시지:
- 버블은 새로운 혁신적 스토리에 기반할 때 형성되는 경향이 있음.
- 현 상황은 밸류에이션 면에서 다소 높지만, 과거 닷컴버블 수준의 극단적인 상황은 아님.
-
3단계 버블 진단:
- 회복 초기 단계 (2022년 말)
- 확신 단계 (2023년 중후반)
- 과열 단계 (2025년 예상)
-
현재 상황 해석:
-
주식시장의 상승은 '긍정적 기대'에 기반해 있으나 과열로 보기에는 이르다.
-
그러나 밸류에이션의 압박이 높은 상태에서 추가적인 낙관론은 경계가 필요.
- 투자 키포인트:
- 무작정 상승만 기대하기보다는 철저히 투자법을 지키며 "Sell Smart(똑똑하게 매도)"를 고민할 시기.
- 변동성에 대한 대비와 리스크 관리 필수.
🚀 결론
시장은 여전히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금리 상승 부담 사이에서 갈등 중.
결과적으로 현재는 큰 폭의 버블이 아닌, 신중한 낙관론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임.
투자는 지나쳤거나 과도한 감정이나 기대감 대신, 언제나 ‘기본 원칙’을 중심으로 이뤄져야 함. 특히, 2024~2025년의 과열 가능성에 대비한 전략적인 접근이 지금부터 필요.
- Crafted by Billy Yang
- [관련글 at NextLens.Net]
- 미국 국채 금리 상승의 주요 원인
- 하워드 막스의 2024년 투자 조언
*유튜브 출처: [이효석아카데미]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