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ped for Easy Understanding
1. Strong Dollar Strategy: Europe-Focused Shift
- The United States is targeting Europe as the subject of its strong dollar strategy.
- It aims to weaken European currencies, thereby slowing down the European economy and funneling that capital back into the U.S.
- A strong dollar is making European companies less competitive, with a high probability of funds flowing into U.S. manufacturing.
- This is also connected to efforts to ease environmental regulations, such as withdrawing from the Paris Agreement, to attract businesses to the U.S.
2. Weak Dollar Strategy: Asia and China Response
- The U.S. is implementing a weak dollar stance towards Asia (particularly China), trying to limit the flow of dollar value.
- China is falling into the middle-income trap, which the U.S. is trying to solidify.
- The weak dollar strategy is also effective in subtly controlling dollar circulation within the Asian region.
3. Global Military and Economic Diplomacy
- The mention of withdrawing from NATO is actually one strategy to amplify economic insecurity among European countries.
- Demands to increase defense spending, and potential cooperation with Russia’s influence, are weakening European currencies relatively.
- Simultaneously, the U.S. is strengthening its geopolitical approach by seeking to isolate China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Russia.
4. Key Variables for 2025-2027
2025:
- Start of Trump’s second term → Expected immediate repeal of major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the announcement of key economic policies.
- Jerome Powell’s term as Fed Chairman is scheduled to end.
2026-2027:
- The new Fed Chairman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global monetary policy. Intensification of regional patterns of strong and weak dollar.
- 2027 is the target year for China’s announced ‘absorption of Taiwan,’ potentially leading to peak geopolitical tension.
- Based on this, US-Russia relations and strategic moves by European and Asian countries will be greatly influenced.
5. Industrial Changes in the U.S.
- Focusing core industries like next-gen AI semiconductors within the U.S., while strengthening subsidy policies.
- In particular, global IT companies such as Samsung Electronics have already received massive subsidies, inducing production expansion within the U.S.
- In energy policy, promoting the revitalization of the oil and gas industry to increase self-sufficiency within the U.S.
6. Cryptocurrency and CBDC (Digital Currency)
- The Trump administration is likely to push for legislation considering cryptocurrencies (including Bitcoin) as reserve assets in the future.
- The possibility of issuing a U.S. digital currency, or CBDC, is expected to be discussed.
- Changes in cryptocurrency market regulation and investment can have global implications.
7. Next Generation Project: Freedom City
- The Trump administration plans to stimulate the economy through large-scale infrastructure projects like “Freedom City.”
- This is likely to be utilized to revitalize domestic economy and gain popularity.
Related Articles at NextLens.Net
- Crafted by Billy Yang
*YouTube Source: [경제 읽어주는 남자(김광석TV)]
– 트럼프의 초강수와 미·중·유럽 경제 구도 대전환, 다가올 글로벌 경제 ‘빅 이벤트’ | 경읽남과 토론합시다 | 최양오 소장 2편
[Korean Summary]
[경제 읽어주는 남자(김광석TV)]
“트럼프의 초강수와 미·중·유럽 경제 구도 대전환, 다가올 글로벌 경제 ‘빅 이벤트’ | 경읽남과 토론합시다 | 최양오 소장 2편“
1. 강달러 전략: 유럽 중심의 변화
- 미국이 유럽을 강달러 전략의 대상으로 삼고 있음.
- 유럽 통화의 약세를 유도하여 유럽 경제를 둔화시키고, 그 돈이 미국으로 들어오도록 설계 중.
- 강달러는 유럽 내 기업들이 경쟁력을 잃게 만들며, 많은 돈이 미국 제조업으로 향할 가능성이 높아짐.
- 파리기후협정 탈퇴 등 환경 규제를 완화하여 기업들을 미국으로 유도하려는 움직임과도 연결.
2. 약달러 전략: 아시아 및 중국 대응
- 아시아(특히 중국)에 대해서는 약달러 기조를 통해, 달러화 가치의 흐름을 제한하려는 모습.
- 중국은 스스로 중진국 함정에 빠지고 있으며, 이를 미국은 더 고착화시키려는 방식을 택하고 있음.
- 약달러 전략은 또한 아시아 지역 내에서의 달러 순환을 은밀히 통제하는 데도 효과적.
3. 글로벌 군사 및 경제 외교 전략
- 나토(NATO)에서 탈퇴하겠다는 언급은 실제로 유럽 국가들의 경제적 불안감을 증폭시키기 위한 전략 중 하나.
-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 러시아의 영향력과의 협력 가능성 등으로 유럽 통화를 상대적으로 약화.
- 동시에, 미국은 러시아와의 관계를 통해 중국 고립을 노리는 지정학적 접근을 강화 중.
4. 2025~2027 중점 변수
2025년:
- 트럼프의 2기 임기 시작 → 곧바로 주요 환경 관련 규제를 철폐하고 주요 경제 정책 발표 예상.
-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임기 종료 예정.
2026~2027년:
- 새 연준 의장이 전 세계 통화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 강달러와 약달러의 지역별 패턴 심화.
- 2027년은 중국의 ‘대만 흡수’ 발표 목표 연도로, 지정학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할 가능성이 있음.
- 이를 기반으로 미국-러시아 관계와 유럽 및 아시아 각국의 전략적 움직임이 큰 영향을 받을 것.
5. 미국 내 산업 변화
- 차세대 AI 반도체 등 핵심 산업을 미국 내부로 집중시키고 보조금 정책을 강화.
- 특히, 삼성전자 등 글로벌 IT 회사들이 이미 막대한 보조금을 받은 상태이며, 미국 내 생산 확대 유도 중.
- 에너지 정책에서도 석유 및 가스 산업 재활성화를 추진, 미국 내 자급률을 높이려고 함.
6. 암호화폐 및 CBDC(디지털 화폐)
- 트럼프 행정부는 암호화폐(Bitcoin 포함)를 향후 비축 자산으로 고려하는 법 제정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음.
- 미국 디지털 화폐, 즉 CBDC의 발행 가능성이 논의될 전망.
- 암호화폐 시장 규제와 투자의 변화가 글로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
7. 차세대 프로젝트: 프리덤 시티 (Freedom City)
- 트럼프 행정부는 ‘프리덤 시티’ 같은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통해 경제를 부양하려는 계획 중.
- 이는 미국 내 경제산업 활성화와 인기를 얻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가능성이 큼.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