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conomic Lessons from Japan
(1) Impact of the Plaza Accord
- The yen's appreciation following the 1985 Plaza Accord caused Japanese companies to lose their export competitiveness.
- In an irreversible situation, major corporations suffered, and the domestic economy experienced a slump.
- This led to a surge in stock and real estate prices (a bubble), and when the bubble burst, the Japanese economy fell into deflation.
(2) Failure of Digital Transformation
- Japan’s excessive reliance and pride in analog technology (the so-called "artisan spirit") hindered its digital transformation.
- Japan lagged behind in the advanced digital age, where the platform economy dominates the world.
- As a result, there are hardly any representative Japanese digital companies, and they have been marginalized from the world's top market capitalization rankings.
(3) Changes in Social Structure
- Japan has lost its economic vitality due to low birth rates and an aging population.
- Many workers are leaving the country, and overseas workers are increasingly moving to South Korea, which offers better conditions than Japan.
2. Points of Differentiation: South Korea’s Current Position
(1) Unique Circumstances
- South Korea has not experienced forced structural changes like the Plaza Accord.
- Unlike Japan, South Korea has successfully adapted to digital transformation and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IT powerhouse.
- Although it may differ from global IT companies like Google and Meta, South Korea has fostered global competitiveness based on its technological prowess, with companies like Samsung Electronics and Kakao.
(2) Leveraging Culture and Creativity
- K-Culture (K-pop, dramas, movies, etc.) is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further diversifying the South Korean economy.
- By integrating culture and technology, South Korea is also expanding its global influence in the content industry.
(3) Building Global Relationships
- South Korea maintains an export-based economy through various trade relationships with other countries.
- In particular, it is continuing growth in areas such as semiconductors, K-pop, and the defense industry, which align with the ‘digital age.’
3.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South Korean Economy
(1) Innovation and Challenge
- South Korea must continuously invest in technological innovation without settling for the stable present, like Japan did in the past.
- It needs to create its own global platform companies at the center of the platform economy.
(2) Addressing Aging and Population Issues
- South Korea should learn from Japan's experience with an aging population and prepare countermeasures.
- It needs to seek ways to enhance economic vitality through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population inflow policies.
(3) Digital and Green Transformation
- The country needs to create new growth engines by linking digitalization and eco-friendly policies on a national level.
- It should newly design a 'digital artisan spirit' that goes beyond Japan's artisan spirit.
- Crafted by Billy Yang
- [Related Articles at NextLens.Net]
*YouTube Source: [경제 읽어주는 남자(김광석TV)]
– [풀버전] 해외로 떠나는 기업과 청년들, 일본이 ‘개발도상국화’ 된 이유 | 경읽남과 토론합시다 | 이명찬 박사

[Korean Summary]
[경제 읽어주는 남자(김광석TV)]
“[풀버전] 해외로 떠나는 기업과 청년들, 일본이 ‘개발도상국화’ 된 이유 | 경읽남과 토론합시다 | 이명찬 박사“
1. 일본의 경제적 교훈
(1) 플라자 합의의 영향
- 1985년 플라자 합의 이후 엔고 현상이 발생하면서 일본 기업들은 수출 경쟁력을 잃었습니다.
- 돌이킬 수 없는 상황 속에서 대기업들이 피해를 입으며 국내경제는 침체를 겪었습니다.
- 이는 주식과 부동산 가격의 폭등(버블)으로 연결되었고, 그 버블이 꺼지면서 일본 경제는 디플레이션에 빠졌습니다.
(2) 디지털 전환 실패
- 일본의 아날로그 기술에 대한 지나친 의존과 자부심(소위 "장인 정신")이 오히려 디지털 전환을 방해했습니다.
- 플랫폼 경제가 세계를 지배하는 선진 디지털 시대에 일본은 뒤처졌습니다.
- 결과적으로 일본의 대표적인 디지털 기업은 거의 없어지고, 세계 시가총액 상위권에서 소외되었습니다.
(3) 사회적 구조 변화
- 일본은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경제의 활력을 잃었습니다.
- 많은 노동 인력이 해외로 나가는 상황이고, 해외 노동자들은 점점 일본보다 더 나은 조건의 한국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2. 일본과의 차별점: 한국의 현재 위치
(1) 고유한 상황
- 한국은 플라자 합의와 같은 강제적인 구조 변화의 경험이 없습니다.
- 일본과 달리 디지털 전환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며, IT 강국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구글, 메타 등 글로벌 IT 기업들과는 다를 수 있지만, 삼성전자와 카카오 등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왔습니다.
(2) 문화와 창의성 활용
- K-컬처(K팝, 드라마, 영화 등)는 한국 경제를 더욱 다각화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문화와 기술력을 융합해 콘텐츠 산업에서도 세계적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3) 글로벌 관계 구축
- 한국은 다른 국가들과 다양한 교역 관계를 통해 수출 기반 경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특히 반도체, K팝, 방위산업 등에서 '디지털 시대'에 맞는 성장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3. 한국 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
(1) 혁신과 도전
- 과거 일본처럼 안정적인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기술 혁신에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 플랫폼 경제의 중심에서 한국 자체의 글로벌 플랫폼 기업을 만들어야 합니다.
(2) 고령화와 인구 문제 해결
- 일본이 먼저 겪고 있는 고령화 문제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대비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 노동 시장의 유연성과 인구 유입 정책을 통해 경제적 활력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3) 디지털과 친환경 전환
- 국가적으로 디지털화와 친환경 정책을 연계하여 신성장 동력을 만들어야 합니다.
- 일본의 장인 정신을 넘어서는 '디지털 장인 정신'을 새롭게 설계해야 합니다.
- Crafted by Billy Yang
- [관련글 at NextLens.Net]
- "플라자 합의와 한국 경제"
- "디지털 전환의 성공 사례"
*유튜브 출처: [경제 읽어주는 남자(김광석TV)]
- [풀버전] 해외로 떠나는 기업과 청년들, 일본이 ‘개발도상국화’ 된 이유 | 경읽남과 토론합시다 | 이명찬 박사
Leave a Reply